조사
우리말의 특징중 하나는 바로 '조사' 기능 일 것이다. 영어가 "어순 중심"의 언어라면 우리말은 바로 "조사 중심"의 언어라는 말이다. 그래서인지 우리말 문장에서 조사와 어미를 포함한 기능어 사용법이 더 까다로운 문제이다. 대체로 주어나 목적어, 관형어, 부사어, 서술어를 만드는 조사를 혼동해서 쓰는 일은 흔치 않다. 그러나 기능이 비슷한 조사를 오해하여 엉뚱하게 사용하는 상당히 많다.
조사의 종류
격조사
- 문장의 성분이 주어인지, 서술어인지, 보어인지, 목적어인지, 관형어인지, 부사어인지 알려 주는 기늘을 하는 조사.
주격주사
- (가/이), 서술격조사(다/이다), 목적격 조사(를/을), 보격조사(가/이). 관형격 조사(의), 부사격 조사(에/에게/에서/로/으로)로 나뉜다.
보조사
- 격조사가 아니지만 격조사처럼 쓰이면서 앞말의 의미를 한정하는 기능을 하는 조사, 대표적인 보조사로 '은/은', '도', '만', '부터', '까지', '야', '마저', '조차', '라도', '나마' 등이 있다.
접속조사
- 어휘와 어휘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조사. '와/과', '랑/이', '랑', '하고', 등이 있다.
- '이'와 '은'
1. '이'와 '은'의 구별법(1) : 주어(행위의 주체를 나타내는 말)에는 '이'
주제어(설명의 대상이 되는 말)에는 '은'
예문> 말은 혼자 간직하고 있기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주고 받기 위해 있다. 그만큼 내 말이 남에게 영 향을 주고 남의 말이 또 나에게 영향을 준다.(이익섭. 『방언학』에서)
은 - 글쓴이의 생각을 개입하여 무엇을 설명하고자 할 때
이 - 단순 사실 관계를 설명하고자 할 때
예문>사람은 누워서 잔다.
사람이 누워서 잔다.
ㅡ'이'는- 묘사문에 쓰이고, '은'은 설명문에 쓰인다.
->어떤 문장이 묘사문인지 설명문인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글쓴이가 객관적 사실을 서술한 것인지 아니면 자기의 생각을 넣어 특별하게 설명을 하려고 했는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.
2. '이'와 '은'의 구별법(2) : 새로운 정보가 주어에 있으면 '이', 서술어에 있으면 '은'
예문> 한빛소프트 등 9개 기업이 12일 코스닥 등록 예비 심사를 통과 했다. 함께 심사를 받은 엑스토, 시스풀, 다코스정보통신은 보류 판정을 받았다(조선일보 기사에서)
3. '은'의 사용법(1) : 주제어는 문장 첫머리에 나온다.
예문> 야산 나무 구경하면서 돌아다니다 보면 미국 시인 조이스 킬머가, '나 같은 바보도 시는 쓰지만 신 아니면 나무는 만들지 못한다.고 읖은 까닭이 헤아려지고는 한다.(이윤기, 『손가락』에서)
수정->야산 나무 구경하면서 돌아다니다 보면 미국 시인 조이스 킬머가, '시는 나 같은 바보도 쓰지만. 나무는 신 아니면 만들지 못한다.고 읖은 까닭이 헤아려지고는 한다.
4. '은'의 사용법(2) : 주제어와 핵심 서술어
예문> 인간은 이 세상에 태어난 첫해부터 말을 배우기 시작해서 죽을 때까지 이 배움은 계속된다.(이규호 『말의 힘』에서)
-> 주제어와 핵심어의 호응이 안 되었다.
수정> 인간은 이 세상에 태어난 첫해부터 말을 배우기 시작해서 죽을 때까지 이 배움이 계속된다.
5. '은'의 사용법(3) : 대조적 기능을 가진 '은'
예문> A. 얼굴이 참 예쁘군요
B.얼굴은 참 예쁘군요
-
위에 말은 거의 비슷한 뜻이지만 듣는 사람은 다르게 들린다. B의 말은' 얼굴만 예쁘고 다른곳은 아니다' 라고 생각 될 수 있다. (허나 사실은 얼굴 이외의 곳이 예쁜지 안 예쁜지에 관한 판단은 하지 않은 표현이다.)
예문> 그 여자는 얼굴이 예쁘고, 저 여자는 다리가 날씬하다.
그와 함께 여행은 할 수 없지만, 영화는 볼 수 있다
뉴욕에는 가 보았지만, 파리에는 가 보지 못했다.
본뜻> (그 여자는 얼굴이 예쁘고, 다른 사람은 얼굴이 예쁜지 안 예쁜지 알 수 없다)
(그와 여행은 할 수 없지만, 다른 것은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)
(뉴욕에는 가 보았지만, 다른 곳에는 가 보았는지 모르겠다.)
-'은'은 여럿가운데서 선택하여 그것이 어떠함을 나타내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, 자연스럽게 선택됀 요소를 지적하는 기능, 그 요소에 한정하는 기능, 다른 요소와 대비하는 기능, 다른 요소보다 강조하는 기능 등이 포함된다.
6. '은'의 사용법(4) : 한국어의 카리스마 '은'
'은'이 나타나면, 그 뒤에 오는 모든 것은 주제어와 분리되면서 주제어를 설명하기 위해서 총동원 된다,
댓글 없음:
댓글 쓰기